#10 If the world was silent・如果世界沈默・世界が沈黙していたら・세상이 침묵한다면 [EN/CN/JP/KR]

What would life be like without sound? This is a question that often comes to my mind whenever I watch a movie or drama with a protagonist who is deaf. As most of us are born with the ability to hear, we tend to take our hearing ability for granted. Apart from hearing loss due to old age, most people rarely get anywhere close to experiencing living a life of silence. For those who enjoy playing musical instruments or listening to music while carrying out day to day activities, the thought of living in silence may be even more inconceivable.

If the world was silent, perhaps we would learn to develop more patience in communication. For the deaf, sign language is the main means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around them. In contrast to speaking, where words can be uttered rapidly, sign language tends to take a longer amount of time to convey the same message through the hands. This means that the other party would require more time and patience to interpret the message of the conveyor. As speakers, we sometimes interrupt each other as it is a lot easier to verbalise our thoughts even before the other party has finished speaking. I would imagine that those who practise sign language tend to have more patience when it comes to allowing the signer to finish conveying the message before responding in turn.

If the world was silent, perhaps we would learn to develop more sensitivity to the emotions of others. When communicating through speaking, both the speaker and listener can easily communicate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cross a distance, and without having to look at each other. However, sign language requires both sides to look at each other in order to interpret the sign language through the hands and facial expressions of the signer. This means that more attention is given to the facial expressions and emotions of the other party when communicating in sign language, compared to in speaking. It is not uncommon for tension to arise due to a lack of emotional understanding between both parties when either party is insensitive to the emotions of the other party. By having more attentiveness to observe the emotions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ir facial expressions and body language, greater emotional sensitivity and understanding can be established for meaningful conversations to take place.

If the world was silent, perhaps we would be less distracted when communicating with others. With the ability to hear all the surrounding noises, speakers can easily get distracted by the chattering of neighbours or background sounds while having a conversation. Being constantly distracted can be mentally tiring while also hindering a smooth communication flow between both parties in a conversation, where either party may feel neglected by the lack of attention received. While it is impossible to block off our ears to noises that occur outside of the conversation, we can be more conscious about focusing our attention on the speaker by listening attentively to the message that is being conveyed. Simply by focusing on the conversation, it would allow both parties to feel heard and understood when there is mutual effort displayed to comprehend the messages being conveyed.

If the world was silent, there would be no division between those who do not have the ability to hear or speak, and those who do. While it is easy to take for granted the ability to hear and speak fluently, those abilities are not guaranteed for everyone. Even for those who were born with the ability to hear and speak, those abilities can also be lost due to unforeseen circumstances. Since the majority of people have the ability to hear and speak without difficulties, it is easy to assume that everyone else among us are the same. This can lead to a lack of willingness to understand or accommodate the limitations of others who may not share the same ability. Those who feel marginalised due to their inability to communicate in the common language of their community may develop a sense of isolation and loneliness. Removing the division between those who can hear and those who cannot would allow stronger connections to be forged between people with different abilities to hear and speak. If everyone learned sign language to connect with each other regardless of their ability to hear or speak, perhaps we would be able to develop a greater understanding towards each other in an inclusive society.

——————————

如果世界沈默,生活會變成怎樣?每當我觀看主角是聾子的電影或戲劇時,我經常想到這個問題。由於我們大多數人與生俱來就有聽力,因此我們往往認為自己的聽力能力是理所當然的。除了年老導致的聽力損失之外,大多數人很少能體驗到相似世界無聲的生活。對於那些喜歡演奏樂器或在日常活動中聽音樂的人來說,萬籟無聲的生活可能更難想像。

如果世界沉默,也許我們會學習在溝通中培養更多的耐心。對聾人來說,手語是與周遭其他人溝通的主要方式。與可以快速說出言辭的說話相比,手語往往需要更長的時間才能透過雙手傳達相同的訊息。這意味著對方需要更多的時間和耐心來解讀傳送到的訊息。身為發言者,因為通過言語更容易表達自己的想法,即使在對方說完話之前我們有時會不小心互相打斷對方。我想那些使用手語的人在讓手語者傳達完訊息後再做出回應時往往會更有耐心。

如果世界沉默,也許我們會學會對他人的情緒更加敏感。透過言語進行溝通時,說話者和聽者都可以輕鬆地保持距離交流他們的想法和感受,而無需互相看著對方。然而,手語需要雙方注視對方才能透過手語者的雙手和臉部表情來解讀手語。這意味著與說話溝通相比,用手語溝通時會更專注於對方的臉部表情和情緒。當一方對另一方的情緒不敏感時,雙方缺乏情感理解而導致緊繃的情況並不罕見。透過更專注地從表情和肢體語言觀察對方的情緒,可以建立更高的情緒敏感度和理解力,促成進行有意義的對話。

如果世界沉默,也許我們在與他人溝通時會不那麼分心。由於能夠聽到周圍所有的噪音,說話者在交談時很容易被鄰居的喋喋不休或背景聲音分散注意力。持續的被分心可能會導致精神疲勞,同時也會阻礙對話雙方之間的順利溝通,任何一方都可能因缺乏關注而感到被忽視。雖然我們不可能屏蔽掉談話以外的噪音,但我們可以透過仔細聆聽所傳達的訊息,更有意識地將注意力集中在說話者身上。只需通過專注於對話,當雙方表示到努力理解所傳達的訊息時,這將使雙方感到被傾聽和理解。

如果世界沉默,那麼就不會區分那些沒有聽力和說話能力的人和有哪些能力的人。雖然人們很容易認為擁有聽力和流利的口語能力是理所當然的,但並不能保證每個人都能擁有這些能力。即使對於那些生來就有聽力和說話能力的人來說,這些能力也可能會因為不可預見的情況而喪失。由於大多數人都有能力毫無困難地聽清和說話,因此很容易假設周圍的所有人都是一樣的。這可能導致缺乏理解或適應那些可能不具備相同能力的人的限制的意願。那些因無法使用社區通用語言進行交流而感到被邊緣化的人可能會產生孤立感和孤獨感。消除能聽者和不能聽者之間的區別將使具有不同聽和說能力的人之間建立更牢固的聯繫。如果每個人無論聽力或說話能力如何都學習手語來相互聯繫,也許我們能夠在一個包容性的社會中加深對彼此的理解。

——————————

もし世界が沈黙していたら、人生はどうなるでしょうか?主人公が聴覚障害者である映画や演劇を見るたびに、私はこの疑問についてよく考えます。私達のほとんどは生まれつき聴覚を持っているため、自分の聴覚能力が当然のものであると考えています。加齢による難聴を除けば、大半の人は沈黙するような生活に近い経験をすることはほとんどありません。楽器の演奏や日常的に音楽鑑賞を楽しんでいる人にとって、音のない生活は想像しにくいかもしれません。

もし世界が沈黙していたら、おそらく私達はコミュニケーションにおいてもっと忍耐力を身につけることができるでしょう。聴覚障害者にとって、手話は周囲の人々と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とるための主な手段です。会話では言葉を素早く伝えられるのと比較して、手話では手を介して同じメッセージを伝えるのに時間がかかることがよくあります。というわけで、相手が伝えられたメッセージを解釈する為に、より多くの時間と忍耐を必要とすることを意味します。会話する人にとっては、言葉で自分の考えを表現する方がかなり容易であるため、相手が話し終わえる前にうっかり話を遮ってしまうことがあります。手話をする人は、応答する前に手話者にメッセージを伝えてもらうことに関して、より忍耐強くなる傾向があると思います。

もし世界が沈黙していたら、おそらく私達は他人の感情にもっと敏感になることを学ぶでしょう。会話でコミュニケーションする場合、話し手も聞き手も距離を置いても離れた位置からでもお互いに向かい合わなくても、自分の考えや感情を簡単に伝えることができます。しかし、手話では手話者の手や顔の表情を通して手話者が伝えたいメッセージを解釈するために、双方がお互いに向かい合う必要があります。つまり、手話で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取る時は、話す時よりも相手の表情や感情に注目することになります。一方の相手がもう一方の感情に無神経な場合、双方の感情的理解の欠如から緊張が生じることは珍しくありません。表情や身体言語を通じて相手の感情にもっと注意を払うことで、感情への感受性と理解を深め、有意義な会話に繋がります。

もし世界が沈黙していたら、おそらく私達は他の人と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取る時に気が散ることが少なくなるでしょう。周囲の騒音が全て聞こえるため、話者は会話中に隣の人の話し声や周囲の雑音に気を取られ易くなります。気が散り続けると精神的な疲労が生じ、両者間の円滑なコミュニケーションが妨げられ、どちらかが注意力の欠如により無視されていると感じる可能性があります。会話以外の音を遮断することは不可能ですが、伝えられるメッセージを注意深く聞くことで、より意識的に話者に集中することができます。会話に集中するだけで、伝えられているメッセージを理解しようと努力を示すので、双方が話を聞いてもらえていて理解されていると感じることができます。

もし世界が沈黙していたら、聞くことも話すこともできない人と、できる人の間には区別がなくなるでしょう。聞いて流暢に話す能力は当然のことだと思われがちですが、これらの能力は誰にでも常に保証されているわけではありません。たとえ聞くことや話す能力を持って生まれても、予期せぬ事態によってその能力が失われることがあります。ほとんどの人は難なく聞くことも話すこともできるため、周りの人も同じだと思いがちです。その考え方は、同じ能力を持たない人々の限界への理解や適応しようとする意欲の欠如に繋がる可能性があります。コミュニティの共通言語でコミュニケーションできない為に疎外されていると感じる人は、孤立感や孤独感を感じることがあります。聞こえる人とそうでない人の区別が除けるなると、聞く能力や話す能力が異なる人々の間でより強い繋がりが生まれます。聞こえるかどうかや話す能力に関係なく、誰でもが手話を学んで共に関係を結ぼうとすれば、共生社会でお互いへの理解が深まるかもしれません。

——————————

만약 세상이 침묵한다면 인생은 어떻게 될까? 주인공이 청각 장애인인 영화나 드라마를 볼 때마다 나에게는 이러한 의문이 생긴다. 우리 대부분은 청력을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에 자신의 청력이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노화로 인한 난청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침묵으로 이루어진 삶에 가까운 세상을 거의 경험해본 적이 없다. 악기 연주나 음악 감상을 일상에서 즐기고 있는 사람에게는, 소리가 없는 생활은 상상하기 어려울지도 모른다.

만약 세상이 침묵한다면, 아마도 우리는 의사소통에 필요한 인내심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청각 장애인에게 수화는 주위 사람들과 의사소통하는 주요 수단이다. 같은 메시지를 전달할 때도 말로 이루어지는 대화는 비교적 신속한데에 비해 손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화는 시간이 더 걸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수화로 의사소통을 한다는 것은 상대방이 전달한 메시지를 해석하는 데 더 많은 시간과 인내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말하는 사람으로서는, 목소리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쪽이 상당히 쉽기 때문에, 상대가 말을 끝내기 전에 실수로 이야기를 가로막기도 한다. 수화를 연습하면 자신이 말할 차례가 되기 전 상대방이 수화로 말을 마칠 때까지 기다리기 때문에 더 많은 인내심을 발휘하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한다.

만약 세상이 침묵한다면, 아마도 우리는 다른 사람의 감정에 더 세심해지는 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구두로 의사소통을 하는 경우, 말하는 사람이나 상대방과 거리가 있더라도 서로 마주보지 않고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쉽게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수화를 할 때는 수화자의 손과 얼굴 표정을 통해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해석하기 위해 양측이 서로 마주봐야한다. 즉, 수화로 의사소통을 할 때는 말할 때보다 상대의 표정이나 감정에 주목하게 된다. 상대방의 감정에 무신경할 경우, 양쪽이 서로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하여 긴장감이 생기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표정이나 몸짓을 통해 상대방의 감정에 더 주의를 기울여 감수성을 높이고 이해력을 키우면, 보다 의미 있는 대화로 이어질 수 있다.

만약 세상이 침묵한다면, 아마도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할 때 그렇게 쉽게 한눈이 팔리지 않을 것이다. 주위의 소음이 모두 들리면 화자는 대화중에 옆사람의 말소리나 주변음에 신경 쓰기 쉬워진다. 마음이 자꾸 산만해지면 정신적인 피로가 생기고, 양자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방해받고, 말하고 있는 사람들 중 한 쪽은 상대방이 자신의 말에 한눈을 팔고 자신을 무시한다고 있다고 느낄 가능성이 있다. 대화 이외의 소리를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전달되는 메시지를 주의 깊게 듣는 것으로 더 의식적으로 화자에게 집중할 수 있다. 대화에 집중하는 것만으로, 전해지고 있는 메시지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드러나므로, 서로가 서로의 이야기를 듣고 이해받고 있다고 느낄 수 있다.

만약 세상이 침묵한다면, 듣거나 말할 수 없는 사람과 할 수 있는 사람 사이의 구별이 없어질 것이다. 듣고 유창하게 말하는 능력은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되기 쉽지만, 이러한 능력은 누구에게나 보증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듣거나 말하는 능력을 갖고 태어나도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해서 이러한 능력을 잃을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듣거나 말하는 데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도 자신과 같다고 생각하기 쉽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자신과 같은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들의 어려움에 대한 이해심이나 공감하려는 의지의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 공동체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언어로 의사소통할 수 없기 때문에 소외되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고립감이나 고독감을 느낄 수 있다. 들을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구별이 사라진다면, 듣는 능력이나 말하는 능력이 있는 사람과 없는사람들 사이에 더 강한 감정적 유대가 형성될 수 있다. 듣고 말하는 능력과 관계없이 누구나 수화를 배우고 서로 관계를 맺으려 하는 포용적인 사회에서는 서로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지도 모른다.

Leave a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error:
Scroll to Top